Pages

Monday, August 18, 2014

Green Leaf

베트남 식당입니다. 이 동네의 유일무이한 베트남 식당입니다. 2008년 쯤 생겼었나 봐요. 베트남인인 주인 아줌마가 딸이 퍼듀 약대에 입학하자 캘리포니아에서 이 동네로 이사 와서 식당을 차렸다네요. 딸은 이미 졸업하고 약사로 일하고 있지만 감사하게도 안 떠나고 계속 식당을 운영하고 계십니다. 이 식당 생기기 전에는 저도 캘리포니아에서 즐겨 먹던 베트남 국수 pho를 참 그리워했었지요.  라파옛에 House of Saigon이란 식당이 있어서 가봤더니 중국인이 하는 무늬만 베트남 식당이더군요. pho를 시켰는데, 이건 뭐 정체를 알 수 없는 국수가... ㅠㅠ 그런 상황이어서 이 식당이 생긴 것이 무척이나 반갑더군요. (게다가 제가 약대 교수라고 주인 아줌마가 무척이나 친절하게 대해 주십니다. ㅋ)

퍼듀 캠퍼스에서 무척 가깝습니다. 걸어도 갈 수 있는 거리. 천장이 높고, 나름 감각 있게 페인트를 써서 깔끔해 보이는 식당입니다. 그런데 구석구석 살펴 보면 베트남 식당답습니다. 뭐 베트남 식당 뿐 아니라 미국의 Asian 식당들이 대충 다 그렇죠. 매장 한 곳에 음식재료 쌓여 있고, 화장실 가는 통로엔 상자들 쌓여 있고... ㅎㅎ 

추천메뉴...라기보다는 제가 즐겨 먹는 메뉴 두 가지 소개합니다. 첫번째는 당연히 pho이고, 두번째는 rice noodles with egg rolls and pork skewers되겠습니다.

Pho는 요새 한국에서도 많이들 드시더군요. 체인점도 여럿되고요. 2013년에 한국에 안식년 나가 있으면서 pho가 땡기면 가끔 먹곤 했는데, 전 개인적으로 이 집 pho 가 훨씬 입맛에 잘 맞더군요. 캘리포니아에서 먹던 pho만큼은 안되지만 그래도 제법 만족할만 합니다. 한국에서 먹던 pho는 웬지 기름지고 들큰한 듯 했어요. 그에 반에서 이곳 Pho는 담백하고 깔끔하면서도 고기맛이 구수합니다. 어쩜 cilantro를 쓰고 안쓰고의 차이일 수도 있겠네요. 한국에서는 cilantro를 주지 않더군요. 물어 봐도 없다고하고... ㅠㅠ 아마 cilantro를 싫어하는 분들이 많으니 아예 내지 않는 듯. 

잠깐 벗어나서... pho는 (베트남어 표기로는 phở) 베트남의 전통요리는 아니고 식민지 시절 프랑스 음식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음식이라고 하더군요. 국물을 내기 위해서 소의 온갖 부위가 다 들어간다는 말이 있더군요. 뭐가 들어가는지 보면 먹고 싶지 않을지도 모른단 말도 있구요. 뭐 한국에서도 못 먹는 부위가 없는데 우리야 상관 없겠지만요. ㅋ

이 식당의 pho 메뉴는 들어가는 고기에 따라 한 10여 종으로 나뉩니다. Round eye steak (홍두깨살), flank (옆구리살), tripe (양), meatball 등등이 다양한 조합으로 되어 있지요. (중국집도 흔히 쓰는 재료만 조금씩 바꿔서 메뉴 가짓수 늘리는 기술, 한식 세계화할려면 우리도 배워야 할 기술이지요.)  소고기 대신 닭고기와 새우가 들어간 pho도 있습니다만, 국물은 역시 다 같더군요. 국수에 넣어 먹는 cilantro, basil, bean sprout (숙주), lime, jalapeño는 따로 나오고요. 


위에 말씀드린 대로 국물 맛이 제법 괜찮습니다. 전 언제든 바닥이 보이도록 국물까지 다 먹지요. ㅋ 술 마신 다음날 해장에도 딱이고요. ㅎㅎ 그런데 이 집의 문제는 consistency가 좀 떨어져요. 가끔 국물이 좀 맹탕일 때가 있더군요. 아마도 충분히 우러나지 않은 국물을 내는 경우가 있는 듯. 그리고 또 가끔 야채가 좀 맛이 간 느낌이 들 때가 있고요. 국수 size가 regular와 large가 있는데, 가격은 50 cent도 차이가 안나는데 양은 거의 두배 차이가 나는 듯 하네요.

Rice noodles with egg rolls and pork skewers는 캘리포니아의 베트남 식당에서는 그냥 rice vermicelli라고 하는 베트남식 비빔국수 되겠습니다. 베트남어로는 Bún Thịt Nướng Chả Giò라고 하더군요. 베트남 식당 다니면서 주워 배운 베트남 단어 실력으로 설명드리자면, Bún이 비빔국수, Thịt Nướng은 구운 돼지고기, Chả Giò은 에그롤 되겠습니다. ㅋ 



쌀국수에 구운 돼지고기, 토막낸 에그롤, 각종 야채, 땅콩가루 등을 얹고, fish sauce와 식초가 들어간 소스가 따로 나오죠. 소스 부어서 비벼 먹으면 상큼하면서도 젓갈의 감칠맛이 입맛을 돋굽니다. 더운 날 뜨거운 국물이 부담스러울 때 시켜 먹으면 맛있게 한그릇 뚝닥 비울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곁가지로 새면, 베트남식 돼지바베큐인 Thịt Nướng은 우리 입맛에도 아주 잘 맞아요. 다시 식당용 베트남어 실력으로 말씀 드리면, Thịt은 돼지고기, Nướng은 바베큐를 의미하죠. ^^ 베트남 식당에서 맛을 들인 뒤, 저도 집에서 종종 만들어 먹습니다. 뭐 똑같지는 않지만 그래도 먹을만. (요리 블로그도 만들까 고민 중. ㅋ) 

이 식당에서 밥도 팔긴 하는데 주메뉴는 아닌 듯 해요. 많이들 찾지는 않는 듯. 그 중 한번 먹어 볼만 한 것이 rice with a whole Cornish game hen이란 메뉴가 있어요. Cornish game hen은 삼계탕용 병아리 정도 작은 닭이죠. 이 닭을 통채로 전기구이하듯 구워서 밥과 같이 나옵니다. 바삭하게 구운 미니통닭이죠. 제 아들은 이 식당 가면 이 메뉴만 먹습니다. 

마지막으로 식당 웹사이트 링크 걸겠습니다. ^^ http://greenleafindiana.com/

Saturday, August 16, 2014

La Scala

제가 좋아하는 이태리 식당을 소개하죠. 라파옛 다운타운에 있는 La Scala입니다. 다운타운의 랜드마크인 법원 건물을 마주 보고 있죠. 나름 라파옛의 유서 깊은 구역에 있는 식당입니다. 파스타는 미국인들이 즐겨 먹는 음식이지만서도 이 동네에서 정말 나름 괜찮은 파스타를 맛볼 수 있는 곳은 이 곳이 유일무이합니다. 나머지는 다 그냥 뻔한 메뉴에 뻔한 맛을 내는 파스타를 가장한 미국음식을 파는 곳일 뿐이죠. 하지만 La Scala는 예외입니다. 나름 개성있는 파스타를 만들어요. 물론 메뉴에 따라 또 개인의 취향에 따라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듯 하긴 하더군요. 이 식당 혹평하는 한국 분들도 여럿 봤습니다. ㅠㅠ 그래도 전 이 시골 동네에 이런 개성 있는 식당은 유지가 되어야 한다고 믿어요. 이 식당 마저 없다면 정말 우울해질 듯...

La Scala는 이태리어로 계단이라는 뜻이지요. (식당에 계단은 없습니다.) 하지만 거의 고유명사로 밀라노에 있는 유명한 오페라 하우스 Teatro alla Scala를 의미하지요. 식당 내부는 좀 어둡고 침침하긴 합니다. 의자도 제각각, 테이블도 제각각... 나름 컨셉이 아닐까 싶게 좀 그렇습니다. 구석에는 밀집으로 만든 주머니에 든 전형적인 키안티 병에 양초를 꽂아 쳐박아 놓았구요. ㅋ 나름 이태리 시골 분위기를 낸 것이지요. (역시 밀라노와는 거리가... ㅠㅠ) 최근에 그래도 들어가는 입구에 대기하는 의자도 놓고 내장을 좀 더 밝게 만들기는 했어요. 날씨 좋은 날에는 식당 정문 옆에 있는 작은 가든에 놓인 테이블에도 앉을 수 있답니다. 점심 시간에 가면 근처 직장인들이 제법 많이 와 있지요.

그럼 음식 이야기로 들어 가죠. 제가 즐겨 먹는 파스타는 Linguini Georgio와 Linguini Seafood가 되겠습니다.



Linguini Georgio는 오랫동안 이 식당의 점심 특별 메뉴였어요. 그러다가 정식 메뉴가 되고 가격을 더 올렸더군요. ㅠㅠ 나름 개성이 있는 파스타입니다. 물론 linguini를 사용하고요, 구운 벨페퍼를 갈아서 크림과 섞어 만든 Georgio 소스를 사용합니다. 예전에는 새우와 스캘럽을 쓰더니 최근에는 새우만... (가격은 올리고 스캘럽은 빼고...) 전 새우보다 스캘럽을 더 좋아해서 예전에는 새우 빼고 스캘럽만 달라고 해서 먹기도 했는데 말이죠. 맛은 고소한 크림과 상큼한 벨페퍼의 맛이 잘 어울리는 경쾌한 맛입니다. 새우도 적당히 잘 삶아져서 맛있고요. 제 입맛에는 좀 싱겁게 나와서 항상 소금을 좀 뿌려야 간이 맛더군요. 항상 두툼하게 구워낸 토스트가 같이 나옵니다.



Linguini Seafood는 최근에 제가 시도해 보고 대만족한 메뉴예요. linguini와 lobster cream sauce에 새우가 들어 가죠. 소스에는 잘게 잘라진 랍스터 살이 제법 들어 있답니다. 소스는 랍스터 비스크를 연상하는 색과 텍스쳐지요. 한마디로 flavor가 풍부한, 입에 짝짝 붙는 맛입니다. 역시 좀 싱겁게 나와요. 소금을 좀 뿌리면 풍미가 더 제대로 살아 나는 것 같더군요.

이 식당의 리조토도 제법 맛있고, oven에 구워 나오는 파스타들도 괜찮습니다. 근데 메뉴가 많아서 고르기가 좀 애매하고, 잘못 고르면 영 별로일 수도 있어요. 물론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일의 파스타가 따로 있다면 면은 어떻게 소스는 어떻게 이런 식으로 주문을 해도 만들어 주기도 하더군요. 예전에 까다로운 손님과 같이 간 적이 있었는데 가능한한 다 맞추어 주더군요. ㅋ

마지막으로 식당 웹사이트 주소 올립니다.
http://www.lascalaitalianrestaurant.com/

Thai Essence

이 시골 동네에도 다양한 ethnic foods를 맛볼 수 있습니다. 역시나 Purdue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지요. West Lafayette에서 Purdue를 빼고 나면 남는 게 없거든요. 대학도시다 보니 구성원들이 아주 다양합니다. 외국인도 많고, 도시 경험을 해 본 사람도 많고... 그러다 보니 많지는 않지만 그래도 다양한 메뉴를 접해 볼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일단 Thai 음식을 소개하도록 하죠.

이 곳의 타이 식당으로는 Thai Essence가 독보적입니다. Basil Thai라는 식당이 있긴 한데, 이건 뭐 거의 분식점 수준이라... Thai Essence는 그래도 나름 식당 분위기가 나는 곳이지요. 내부 장식도 태국식으로 나름 깔끔하게 되어 있고요. 손님 모시고 가기에도 그리 나쁘지 않습니다. 메뉴도 기본적인 타이 음식은 대충 갖추어져 있죠. 위치는 캠퍼스 북쪽 Discovery Park이고요, Purdue Federal 은행 건물 옆에 있는 작은 몰에 들어 있습니다. 접근성, 주차 다 좋습니다.

추천 메뉴는 pad kee mao, duck curry, pineapple thai fried rice가 되겠네요.

Pad Kee Mao는 타이식 볶음국수지요. 원래는 동남아에 사는 중국 사람들의 중국식 볶음국수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음식이라고 하더군요. 재미 있는 것이 kee mao가 타이 말로 술취한 사람을 의미하는데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네요. 재료에 술은 안들어 가거든요. 술꾼들이 술안주로 즐겨 먹어서 그런 건지... ㅋ



이 집의 Pad Kee Mau는 좀 넓은 면을 씁니다. 중국 식당에 가면 chow fun이라는 볶음 국수가 있는데 그 국수 정도? Fettuccine보다 두세 배는 더 넓은 듯 하네요. 물론 쌀국수이고요. 거기에 각종 야채가 들어가고, 고기 종류 한가지를 고르게 하고요. 대부분 태국 식당이 그렇듯이, 어떤 음식이든 고기만 바꿔서 주문이 가능하죠. 기본적인 선택은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두부가 되겠고요. 양념은 약간 매운 정도. 기름이 넉넉하게 들어가고... 좀 출출할 때 먹으면 딱이죠. ^^

Duck curry는 미국의 태국식당에서 종종 볼 수 있는 메뉴지요. 태국 친구에게 물어보니 자기는 태국에서 본 적이 없다고... 이게 거의 한국 중국집의 짜장면 같은 놈 아닌가 싶더군요. Red curry를 베이스로 쓰고 각종 야채에 구운 오리고기가 슬라이스로 들어 갑니다. 이 오리고기가 참 맛이 괜찮아요. 껍질 채로 구워 나오는데, 껍질도 고소하고 맛있어요. 태국 curry치곤 약간 매콤한 맛입니다. 양도 푸짐해서 종종 남는 것 싸와서 다음날 아침으로 먹기도 하죠.

마지막으로, 파인애플이 들어간 태국식 볶음밥인데요, 태국음식에 흔히 들어가는 독특한 향료를 넣고 볶아서 향끗하고 고소한 맛이 괜찮습니다. 파인애플의 과일향까지 들어가면 여름에 입맛 없는 날 입맛을 제대로 돋구어 주지요. 이 메뉴는 저보단 아내가 즐겨 먹는 메뉴지만 역시 추천합니다.

태국 음식점의 대표 메뉴인 Pad Thai(말 그대로 태국 국수죠)도 먹을만 한데 제 입맛에는 좀 달고 시더군요. 아이들은 잘 먹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식당은 점심과 저녁의 가격차가 좀 심하게 커요. 저녁에는 공기밥도 따로 돈을 받죠. 그래서 같은 메뉴의 가격이 거의 60-70% 뛰게 됩니다. 주말에는 무조건 저녁메뉴 가격이고요. 그래서 웬만하면 점심에 주로 찾게 되는 식당이죠.

(게을러서 사진을 제대로 찍어오질 못했네요. 달랑 작년에 찍어 논 Pad Kee Mau만...)

퍼듀 근처에서 식당 찾기

우선 동네를 소개하죠. 인디애나 주 서북쪽에 위치한 West Lafayette입니다. Purdue University가 있는 곳이지요. 미중부의 흔한 캠퍼스 타운답게 대학 빼고 나면 옥수수밭만 남는, 옥수수밭의 일부분을 밀고 대학이 들어 와 있는 그런 동네지요. West Lafayette만 치면 학생을 제외한 인구는 약 3만명 정도에 불과한 소도시지만, 바로 옆에 Lafayette이라는 약간 더 큰 도시가 바로 붙어 있습니다. 그 도시의 인구는 6만명 정도고요. 그래서 합해서 9만명, 학기 중에 학생들이 있을 때는 인구가 한 4만명 더 늘어나는 그런 곳이지요. 이렇게 작은 동네이다 보니 큰 도시와 비교하면 여러가지로 열악합니다. 식당이라고 예외는 아니겠지요.

Purdue University Campus

이런 중부의 소도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식당은 fast food chain입니다. ㅎㅎ 이 동네도 예외는 아니지요. 게다가 인디애나 사람들이 fast food를 무척 좋아한다네요. 그러다 보니 fast food chain들이 새로운 메뉴를 개발하면 인디애나를 testbed로 사용한다는 말도 있고요. 그러다 보니 이 동네에도 정말 다양한 fast food chain이 깔려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인기 있는 식당은 national chain restaurant들입니다. 올리브 가든이나 TGIF 같은 식당이지요. ㅜㅜ

라파옛의 인기 식당, 올리브 가든


소도시에서 이런 chain restaurant들이 인기 있는 이유는 다름 아니라 맛집이 없기 때문이지요. 맛집이 없으면 그냥 평균적인 맛은 나름 보장이 되는 chain restaurant로 사람들이 몰립니다. Chain restaurant 음식은 캘리포니아에서 먹으나 뉴욕에서나 먹으나 인디애나에서 먹으나 뭐 비슷하니까요. 어느 중서부 소도시에 갔는데 그 동네 음식점에 정보가 전혀 없다면, 이름 모를 이태리 식당과 올리브 가든 중 어디를 고를까요? 적어도 기본은 보장이 되는 올리브 가든에 가게 되는 것이지요. 하지만 뉴욕이나 LA에 가서 나름 맛집에 대한 정보가 있을 때 올리브 가든을 가는 경우는 전혀 없겠지요.

상황이 이렇다 보니 결국 chain restaurant에 사람이 몰립니다. 금요일 저녁에 애플비나 올리브 가든에 가면 줄서서 기다려야 합니다. (아 슬프다... ㅜㅜ) 그런 동네에서 맛집을 찾으려 시도하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지요. 하지만! 하지만! chain restaurant의 천편일률적인 맛만 보고 살아야 한다는 것은 더더욱 슬픈 일인 것이지요. 그러니 절대 좌절하지 말고 찾아 다녀야 하겠더군요. 음식 실력이 그저 그런 사람도 자기 나름의 괜찮은 요리 하나씩은 할 줄 아는 것처럼, 그저 그런 식당에서도 제법 먹을만하고 개성이 있는 메뉴는 한 둘 씩 있다는 신념을 가지고 말이지요.

그러다 보니 이 작은 동네서도 관심을 가져 볼만한 메뉴를 가진 식당이 있더군요. 뭔가 다른 음식이 있어야 충족이 될 입맛이 동할 때 한번씩 돌아 가면서 가 볼만한 곳들 말이지요. 이 동네에 9년을 지내다 보니 리스트가 조금씩 길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나름 정리를 해보기로 했지요. 우선은 때로 점심 먹을 곳을 결정하지 못해 고민하는 제 스스로를 돕기 위함이고, 또 이 동네에서 살면서 같은 고민을 해보았음직한 이웃들에게 정보를 나누기 위함입니다. 이제 하나씩 풀어 보겠습니다.

아, 참고 삼아 미리 말씀드리자면, 올리브 가든은 리스트에 들어 가지 않습니다. ^^